본문 바로가기
일상기록

“청계천 복원 20주년, 몰랐던 이야기들”

by 땡글이맘의 정보통 2025. 9. 30.
728x90
반응형
SMALL

🏞️ 청계천 복원 20년, 가스통 시위부터 4700번 설득까지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가스통 시위부터 4700번의 설득까지 담긴 그날의 이야기들을 되짚어봤어요.

 

2005년, 복개도로와 고가도로 아래에 묻혀 있던 청계천이

다시 햇빛을 본 지 벌써 20년이 지났습니다.
2025년은 바로 청계천 복원 20주년이 되는 해예요.

 

그 기념으로, 오늘은 청계천이 다시 흐르기까지의

놀라운 이야기들을 한번 되짚어보려고 해요.

 

서울 한복판,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산책하며 걷는 청계천.
물 흐르는 소리와 시원한 바람에 걷다 보면

누구나 “서울도 이런 여유가 있구나” 싶은 생각이 들죠.

 

그런데 아시나요?

이 청계천이 지금처럼 물길이 흐르고, 시민이 걷는 공간이 되기까지
정말 말도 안 되는 고비들을 수없이 넘겨야 했다는 사실을요. 😮

 

그 중에는 가스통을 들고 시청으로 찾아온 상인들,
거의 5000번에 가까운 설득 미팅,
그리고 밤낮 없는 공사까지…

 

말 그대로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 같은 20년 전 이야기가 있습니다.

 

청계천
청계천

 

🔥 “가스통 들고 반대했습니다”…복원에 반대한 이유는?

2000년대 초반, 청계천은 지금과는 정말 달랐어요.
차가 쌩쌩 다니는 복개도로 위,

그 아래는 아예 하수관 역할을 하던 더러운 하천이었죠.

 

서울시가 이걸 없애고 청계천을 복원하겠다고 하자,
인근 상인들, 특히 청계8가 상인들과 전국노점상연합회는 크게 반발했어요. 😡

 

“복원하면 차량 통행 줄고, 우리 장사 망해요!”

 

심지어 일부는 청계천 길가에서 불을 지르기도 했고,
가스통을 들고 서울시청에 나타난 상인도 있었다고 해요.

진짜 지금 생각하면 영화 한 장면 같죠…?

 

🤝 무려 ‘4700번’ 만났다…설득의 전설

그렇다고 서울시가 밀어붙이기만 했을까요?
그건 또 아니었어요.

 

당시 복원을 총괄한 장석효 전 청계천복원추진본부장의 회고에 따르면,
상인들을 설득하기 위해

공무원들이 만난 횟수만 무려 4700번이었다고 해요. 😲

 

이 정도면 거의 가족보다 더 자주 본 셈…
실제로 삭발하고 시위하는 분들도 있었지만,
서울시는 그만큼 하나하나 이야기를 듣고 대안을 마련하려 애썼다고 합니다.

 

🏘️ 대규모 이주단지 + 상가 이전, 서울시의 대책

상인들의 생업을 고려해 서울시는
문정동에 대규모 이주단지를 조성하고,
송파·동대문·마포 등지로 상점 이전도 함께 추진했어요.

 

강제로 밀어붙인 게 아니라,
“이주 후에도 장사 계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려고 한 거죠.
물론 과정은 쉽지 않았지만,

그런 고민이 있었기에 지금의 청계천이 탄생할 수 있었던 거예요. 👏

 

청계천
청계천 20주년

 

🏗️ 우기 전에 끝내야 한다! 3교대 철야 공사

2003년 12월 1일부터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어요.
그런데 이듬해 5월 전까지 수방공사(하수관·옹벽 등)를 마치지 않으면

우기에 홍수 날 위험이 있었던 상황! 🌧️

그래서 서울시는

  • 주 7일
  • 하루 3교대
  • 밤샘 철야 공사
    를 감행하게 됩니다.

당시엔 지금처럼 주 52시간제도 없었고,
현장에는 일반 공사 대비 10배 이상 인력과 장비가 동원됐다고 해요.

그야말로 “기한 안에 무조건 끝내야 한다!”는 마음으로 밀어붙였던 거죠.
거의 군사작전 수준이었다고 하네요.

 

🚍 “차는 어디로?” → 버스중앙차로의 시작

또 하나의 문제는 교통이었어요.
청계천 복개도로와 고가도로에는

하루 무려 17만 대 차량이 다니던 도로였거든요.

이걸 없애버리면 차는 어디로 가냐는 걱정이 있었죠.

 

서울시의 해법은 바로 버스중앙차로제 도입!
이때 등장한 버스중앙차로가 지금은 전국적으로 확산된 걸 보면,
청계천 복원이 교통 정책에도

큰 변화를 만들어낸 계기였던 거예요. 🚏

 

놀랍게도 복원 후 예상만큼 교통혼잡은 크지 않았다고 합니다.
“막상 해보니까 별일 없더라”는 거죠.

역시 실행력이 중요합니다 😎

 

💧 물값 청구? 정부 vs 서울시의 대립

여기서 또 하나 재미있는 일화가 있어요.

복원이 끝난 후, 정부(건설교통부, 현 국토부)는
“청계천에 물 계속 퍼올리니까 수도세 내세요~” 하고
서울시에 매년 20~30억 원 물값을 청구했대요.

 

근데 서울시는
“우리가 정화해서 다시 보내는 물인데 왜 우리가 돈 내요?”
하면서 단칼에 거절!

 

결국 이 논쟁은 서울시의 논리가 받아들여져서

물값은 안 내는 걸로 정리됐어요.
이걸 두고 “현대판 봉이 김선달 사건”이라고도 부르죠 😂

 

청계천
청계천 복원

 

👣 오픈 3일 만에 100만 명 방문, 그 이후는?

공사 완료 후 청계천이 시민들에게 공개됐을 때는
그야말로 대박이었어요.

 

오픈 후 3일 만에 100만 명 방문!
무교동에서 청계천까지 걸어갈 수 없을 정도로 인파 몰림!

 

사람들이 청계천을 얼마나 기다렸는지,
그 공간이 얼마나 소중한지 보여준 순간이었죠. 🥹

 

지금의 청계천은 단순한 복원 사업의 결과물이 아니라,
시민들의 소중한 일상과 쉼이 깃든 공간으로 자리 잡았어요. 🌿

주말이면 가족 단위 나들이객들로 북적이고,
평일 낮에는 인근 직장인들이 점심 산책을 즐기고,
밤이 되면 조명 아래에서 조용히 걷는 사람들의 발걸음도 이어지죠.

 

20년 전에는 상상도 못 했던 변화.

이제 청계천은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서울다운 산책길로 사랑받고 있어요. 🧡

 

🌿 오늘의 청계천, 그리고 우리

청계천 복원은 단순히 도시미관을 위한 정비가 아니었어요.

  • 위생 문제 해결
  • 생태 복원
  • 시민 여가 공간 확보
  • 교통 정책 혁신

이 모든 걸 가능하게 만든, 정말 어려웠지만 의미 있는 프로젝트였죠.

지금 우리가 걷는 청계천의 물길은
수천 번의 대화와 설득, 밤샘 작업, 땀과 갈등 위에서 흐르고 있다는 걸
한 번쯤 떠올려보면 어떨까요?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