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책 쉽게 알기

"건강보험료 안 내고도 의료비 환급? 본인부담상한제의 허점"

by 땡글이맘의 정보통 2025. 9. 25.
728x90
반응형
SMALL

💥 본인부담상한제, 허점을 노린 의료비 환급?"

수년간 건강보험료를 체납해도 의료비 환급을 받는 사례가 속출하면서,

본인부담상한제도의 제도적 허점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병원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가 오히려 허점이 되고 있다면 어떨까요?

최근 눈에 띄는 건강보험 제도의 허술한 운영 사례가 화제가 되고 있어요.

 

최근 건강보험 제도의 허술한 운영 사례
조용히 이슈가 되고 있어요.

건강보험료를 수년간 내지 않았는데도
수천만 원의 의료비를 환급받은 사례가 실제로 있었거든요.

 

"이게 정말 가능한 일이야?" 싶지만,
놀랍게도 현실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본인부담상한제’라는 제도가 있어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

 

🏥 본인부담상한제란 무엇인가요?

먼저, 본인부담상한제를 간단히 설명드릴게요.

이 제도는 병원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장치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의료비에서 환자가 부담한 금액이
정부가 정한 일정 상한선을 넘으면

그 초과 금액을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2024년 기준 상한액은 개인별로 다르지만,
최소 87만원에서 최대 1050만원까지로 정해져 있어요.

 

즉, 병원비가 너무 많이 나왔을 때
가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된 보호장치인 셈이죠. 😊

 

😨 그런데… 건강보험료 안 낸 사람도 환급받았다고?

문제는 여기서부터입니다.
건강보험료를 오랜 기간 내지 않은 고액 체납자들 중 일부가
이 제도를 아무 제약 없이 이용해

수천만 원의 의료비를 돌려받았다는 점이에요.

 

예를 들어, A씨라는 분은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18개월 동안 1447만9000원의 건보료를 체납했지만,
병원비가 많이 나왔다는 이유로 1576만6000원을 환급받았습니다. 😲

 

결국 보험료는 안 냈지만, 의료비는 그대로 지원받은 셈이죠.
이게 가능한 이유는 바로 현행 제도에 ‘공제’ 규정이 없기 때문이에요.

 

건보료
의료비환급

 

📌 법의 허점… 체납자도 ‘동의만 하면’ 환급 가능

현재 본인부담상한제 환급금을 지급할 때
체납된 건강보험료를 제하고 주는 법적 근거가 없습니다.

오로지 체납자의 동의가 있을 때만 상계 처리할 수 있죠.

 

그렇다 보니 일부 고의적으로 보험료를 내지 않거나,
납부 능력이 있음에도 회피하는 사례가 생기고 있는 거예요.

 

📊 체납자 환급 현황, 생각보다 심각해요

그럼 이런 사례가 얼마나 많았을까요?

👉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건보료를 13개월 이상 1000만원 넘게 체납한 사람 중 1926명
본인부담상한제로 의료비를 환급받았습니다.

  • 총 체납 금액 : 390억 3265만원
  • 환급된 의료비 : 18억 9344만원

그리고 금액은 작지만,

1년 이상 체납 후 환급받은 사람은 무려 8만9885명에 달해요.
체납액은 1469억, 환급금은 852억 수준입니다. 😱

이쯤 되면, “도대체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거지?” 하고 궁금해지죠?

 

🤔 제도는 선하지만, 관리가 허술해요

본인부담상한제는 소득이 낮거나,

갑작스러운 의료비 지출이 큰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그 자체는 분명 필요한 장치예요.

 

하지만 지금처럼 건강보험료를

오랫동안 내지 않은 사람들까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해둔다면,
정직하게 보험료를 납부하는 대다수 국민들의 박탈감이 커질 수밖에 없겠죠.

 

건보료
보험제도

 

🏛️ 개선책은 없을까?

다행히도, 건강보험공단과 국회에서는 이런 문제를 인식하고
환급금을 지급할 때

체납액을 자동으로 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 중입니다.

 

건보공단은 이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게 되면
건보 재정이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제도 운영의 공정성도 높아질 거라고 기대하고 있어요.

 

서미화 의원도
“건보료를 장기 체납한 고액 체납자가
아무 제약 없이 환급을 받는 건 불합리하다”며
법 개정을 조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우리가 관심 가져야 할 이유

이 문제는 단지 통계상의 오류나 행정 실수가 아니에요.
국민 모두가 매달 내는 건강보험료가
제대로 쓰이고 있는지를 묻는 사회적 신뢰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공정’과 ‘형평성’이 중요한 요즘,
제도의 취지는 살리면서도 허점은 확실히 보완하는 방향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개선이 필요하겠죠. 😊


이런 제도들이 더욱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되길 바라며,
우리도 함께 관심을 갖고 지켜봐요!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