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책 쉽게 알기

고용허가제에 묶인 이주노동자, 3D업종의 민낯과 산업현장의 현실

by 땡글이맘의 정보통 2025. 8. 7.
728x90
반응형
SMALL

🧱 지게차에 묶인 이주노동자…우리가 너무 늦게 본 현실

“지게차에 묶인 이주노동자 사건을 통해 본 고용허가제의 맹점,

그리고 우리가 바꿔야 할 노동 현장의 현실을 이야기합니다.”

이주노동자
이주노동자

 

 

며칠 전, 뉴스를 보다가 깜짝 놀랐어요.
한 이주노동자가 벽돌 더미에 묶인 채, 지게차로 들어 올려지는 장면이었죠.
이게 2025년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일이라는 게 믿기시나요?

피해자는 방글라데시 출신, 20대 청년 쇼히둘 씨였습니다.
그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한국에 들어와, 경기도에 있는 염색공장에서 일했어요.
아픈 부모님을 위해 돈을 벌어야 했고, 그게 그의 전부였죠.

 

하지만 어느 날 작업 중 큰 사고를 당했습니다.
오른쪽 다리를 다쳐 수술을 받았고, 두 달 넘게 병원에 누워 있어야 했다고 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쇼히둘 씨는 일터로 돌아왔습니다.
비자 연장을 받아야 했고, 돈도 벌어야 했으니까요.
그렇게 참고 또 참았다고 합니.

 

💥 “도와주세요”라는 말 한마디

상처는 쉽게 낫지 않았어요.
무거운 짐을 들기는커녕, 제대로 걷는 것도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결국 용기를 내 말했습니다.

“무거운 일은 더 이상 못하겠습니다.”

그런데 돌아온 건 따뜻한 배려가 아니었어요.

 

사업주는 그 말을 듣자마자 비자 연장을 취소했습니다.

그 말 한마디로 쇼히둘 씨는 다시 벼랑 끝에 내몰렸어요.

“사장님, 제발 비자 연장 좀 해주세요.
고향에 부모님이 계셔서 돈을 보내야 해요…”

 

그의 말은 간절했지만,
사업주는 “그냥 가라”고 말했답니다.

이게 지금 대한민국의 이주노동자들이 겪는 현실입니다.

쇼히둘 씨의 '무거워서 못하겠어요'라는 말은

'너무 아프니 좀 도와주세요!'란 말이 아니었을까요?

 

이주노동자
산업현장

 

🔗 목줄을 쥐고 있는 사람들

지금 이주노동자들이 사용하는 E-9 비자
기본 3년, 최대 4년 10개월까지 체류할 수 있어요.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그 모든 결정권이 사업주에게 있다는 거예요.

 

비자를 연장해 줄지 말지,
이주노동자가 다른 사업장으로 옮길 수 있을지,
모두 사업주의 손에 달려 있죠.

임금이 체불돼도,
폭언이나 폭행을 당해도,
이주노동자는 직접 그걸 증명해야만 사업장을 옮길 수 있어요.

 

그 과정이 너무나 복잡하고 어려워서
대부분은 그냥 참고 일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말해요.
“사장님이 우리의 목숨줄을 쥐고 있어요.”

 

🧰 누가 이 나라 산업을 지탱하고 있을까요?

우리가 ‘3D 업종’이라 부르는 일들.
힘들고, 더럽고, 위험한 일들입니다.
요즘 젊은 세대는 거의 하지 않으려고 해요.

 

그 빈자리를 누가 채우고 있을까요?
바로 이주노동자들입니다.

농촌, 공장, 어업, 건설현장…
이주노동자가 없다면 돌아가지 않는 곳이 정말 많아요.
그만큼 이들은 한국 산업의 숨은 중심축입니다.

 

그런데 그들에게 돌아오는 건
낮은 임금, 열악한 환경, 그리고 기본적인 인권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현실.
선진국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나라에서

이건 분명히 다시 생각해 봐야 할 부끄러운 문제아닐까요?

 

이주노동자
3D 업종

 

 

🌏 지금은 다문화 사회로 가는 길목

출산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고,
젊은 노동 인구는 줄어들고 있어요.
앞으로 한국 사회는 자연스럽게 다민족 사회로 가게 될 겁니다.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에서 기술을 익히고,
정착해서 계속 일할 수 있다면
그건 우리 모두에게 상생의 기회가 될 수 있어요.

 

그들을 더 이상 ‘관리 대상’이 아니라
‘함께 사는 이웃’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제도도 바뀌어야 하지만,
가장 먼저 바뀌어야 할 건 우리의 시선이에요.

 

🔧 지금 필요한 변화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도 제도 개선을 약속했어요.
하지만 단순한 말로 끝나선 안 됩니다.

노동계와 전문가들은 이런 제안을 하고 있어요.

  • 이탈률 높은 사업장엔 이주노동자 배정을 제한하자
  • 재고용 기간에는 노동자가 사업장을 선택할 수 있게 하자
  • 인권 침해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자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처우 개선과 임금 향상, 복지 확충입니다.

그들을 더 잘 대우하는 건
이 나라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길이기도 해요.

 

이웃
다문화사회

 

🤝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위해

 

우리가 누리고 있는 이 편리한 삶의 이면에는
보이지 않는 수많은 이주노동자의 땀이 있어요.

그걸 인정하고, 존중하고,
이들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
그게 우리가 지금 해야 할 일입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그 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어요.
함께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