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콕하면서 유물 보러 갈래?
“더위에 지친 요즘, 국립박물관 온라인 플랫폼
‘모두’에서 유물도 보고 마음도 힐링해보세요!”
온라인 박물관 ‘모두’, 생각보다 훨씬 더 재밌어요!
요즘 너무 덥죠?
뭔가 문화생활 좀 해보고 싶은데,
이 더위에 박물관 줄 서는 건 좀… 아니, 많이 망설여지잖아요.
그런데 말이에요.
이젠 집에서도 박물관을 마음껏 즐길 수 있다면 믿으시겠어요?
바로 그걸 가능하게 해주는 플랫폼,
이름도 정감 가는 ‘모두(modu)’입니다.
전국에 흩어져 있는 14개 국립박물관 콘텐츠를
한데 모아놓은 온라인 문화 놀이터예요.
유물 보는 게 이렇게 힐링될 일인가요?
‘모두’는 그냥 유물 사진 몇 장 띄워놓고 “봐요~” 하는 사이트가 아니에요.
처음 들어가면 살짝 어리둥절할 수도 있지만,
한 번 발 들이면 깊게 빠지는 맛이 있는 곳이에요.
일단 구조는 이렇게 세 가지로 나뉘어요.
- 🕵️♀️ 탐구해요 : 유물과 전시 자료 모아보기
- 📚 배워봐요 : 박물관 강좌 신청하고 공부하기
- 💌 함께해요 : 감정 맞춤 큐레이션+참여형 콘텐츠
뭔가 이름부터 다정하지 않나요?
특히 이 중에서 요즘 인기 많은 콘텐츠 몇 개만 소개해볼게요!
🎥 유물멍 : 그냥 바라보기만 하는데 왜 이렇게 좋지?
불멍 좋아하시는 분들, 여기 집중!
‘모두’에는 ‘유물멍’이라는 콘텐츠가 있어요.
유물을 가만히 비추는 영상인데, 이게 생각보다… 묘하게 힐링돼요.
예를 들어 청자 칠보무늬 향로라는 유물 영상이 있는데요.
향로를 받치는 세 마리 토끼가 숨어 있어요🐇🐇🐇
그걸 ‘찾았다!’ 하는 순간, 뭔가 내적 환호가 터지는 거죠.
유물을 그냥 감상하는 걸 넘어서, 느리게 바라보고 깊게 느끼는 시간.
바쁜 하루 속에 그런 여유, 요즘 흔치 않잖아요.
💌 마음복원소 : 감정에 따라 유물을 추천해준다고?
이건 진짜 약간 감성 폭발이에요.
이름하여 ‘마음복원소’,
나 지금 기분이 어떤지 고르면, 그 감정에 어울리는 유물이나 전시를 추천해줘요.
예를 들면 이런 식이에요.
- "깨진 마음이에요…"
- 원인은 "사소한 말에 상처 받았어요"
- 감정 강도는? "7점!"
그러면 바로! “지금의 당신에게 필요한 유물은 이것입니다” 하면서
조용히 위로해주는 콘텐츠들이 뜹니다.
진심… AI보다 유물이 더 내 마음 잘 알아주는 느낌😌
마치 우리 할머니 손길에 위로받는 희한한 따스함이 있어요^^
📖 QR로 확대해서 유물 들여다보기 (손안의 박물관)
‘탐구해요’에선 유물을 그냥 보는 걸 넘어,
QR 코드 하나로 확대해 들여다보는 기능도 있어요.
현장에선 잘 안 보이는 무늬나 장식,
작은 디테일들을 손 안에서 쓱쓱 확인할 수 있어서,
"아… 이래서 문화재구나" 싶더라고요.
그리고 전국 박물관들이 만든 전시 영상, 자료집도 다 모여 있어서
관심 분야만 골라 보는 재미도 꽤 쏠쏠해요.
📚 배워보고 싶다면? 강좌도 신청 가능!
‘배워봐요’는 말 그대로 박물관 수업을 신청할 수 있는 곳인데요,
온라인 강의도 있고, 오프라인 대면 강좌도 있어요.
주제도 역사, 미술, 인문 등 다양해서
문화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진짜 보물창고 같은 느낌일 거예요.
"이거 듣고 나면 나도 박물관 해설사 되겠다" 싶은 그 느낌. 알죠?
✉️ 뉴스레터로 만나는 유물 이야기, 매일 한 스푼
참고로 ‘모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운영하는 뉴스레터랑도 연결돼 있어요.
이름은 ‘아침 행복이 똑똑’. 이름도 귀엽죠?
메일 안 유물 이미지를 클릭하면 e뮤지엄으로 연결돼서 더 많은 정보도 볼 수 있어요.
이게 진짜 꿀팁이에요.
유물 하나에도 사연이 있고, 이야기가 있고,
사람들의 감정이 담겨 있다는 걸 새삼 느끼게 되거든요.
🎁 전시 끝나고 굿즈 쇼핑도 잊지 마세요
박물관 좋아하는 분들, 굿즈 욕심 있으시죠?
국립중앙박물관의 ‘뮤즈(MUSE)’ 브랜드 굿즈들이 요즘 인기래요.
귀엽고 감성 가득한 문구류, 유물 모티브 소품들…
전시만큼이나 ‘쇼핑의 재미’도 확실히 챙겨가세요!
🎈 박물관은 이제 “가는 곳”이 아니라 “즐기는 방식”이에요
‘모두’를 체험해보면 깨닫게 돼요.
박물관이 꼭 거대한 건물 안에 있어야 할 이유는 없다는 걸.
지금은 ‘어디서 보느냐’보다 ‘어떻게 느끼느냐’가 중요한 시대잖아요.
물론, 직접 유물을 보고 느끼는 감동은 대체할 수 없지만
온라인으로 미리 보고 배우고 느껴두면,
실제로 현장에 갔을 때 그 경험이 훨씬 더 깊어지는 건 확실해요.
여름이 조금만 더 지나고, 바람이 선선해지면
‘모두’에서 봤던 유물들 직접 만나러 가보는 거 어떨까요?
'복지정책 쉽게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증환자 간병비, 이제 30%만 부담해요” (43) | 2025.08.13 |
---|---|
"장애인등록증 해외 사용 가능해진다? 영문 등록증 도입 소식" (23) | 2025.08.13 |
“종신보험, 노후자금으로 쓴다고?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 알아보기” (28) | 2025.08.13 |
[2026 복지변화 예고] 1형 당뇨도 장애 인정! 췌장장애 신설로 달라지는 복지 총정리 (31) | 2025.08.13 |
도서관에서 작가되기? 문학상주작가 프로그램으로 글쓰기 배우는 법! (28) | 2025.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