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책 쉽게 알기

예비군 훈련비 20만원 인상 추진! 초급 간부 월급·수당도 현실화

by 땡글이맘의 정보통 2025. 8. 14.
728x90
반응형
SMALL

💬 예비군 훈련비 20만원 시대?

      초급 간부 급여도 인상…우리 군의 위상에 변화가 옵니다

 

예비군 훈련비가 20만 원으로 대폭 인상되고,

초급 간부의 월급과 수당까지 현실화되면서 군 복무 여건이 한층 개선될 전망입니다.

 

군인
국군처우개선

 

 

군 복무는 국민의 의무 중 하나지만,
그에 따르는 보상과 예우는 늘 "그만큼 충분했는가?"라는 질문을 남기곤 했습니다.

특히 예비군 훈련에 참여한 분들이라면,
몇 시간 동안 훈련을 받으며 드는 생각이 하나쯤 있었을 겁니다.

 

“나는 이걸 왜 하고 있는 걸까, 필요가 있나?”
“그나마 이 수당으로 위로라도 되는 걸까?”

그런데 최근, 이 질문에 조금은 긍정적인 변화가 생기려 하고 있습니다.

 

🪖 군 복무여건 개선에 1조 3,000억 원… 실질적 투자

국정기획위원회가 밝힌 군 복무 여건 개선안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1조 3,000억 원의 예산이 초급 간부 봉급 인상과
예비군 훈련 보상 확대 등에 투입될 예정입니다.

 

군 관련 예산은 늘 존재해왔지만,
이번처럼 ‘간부 처우와 예비군 보상에 집중된 개선책’은 눈에 띄는 변화입니다.
이는 단순히 금액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국방의 가치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태도의 변화라고 볼 수 있죠.

 

💰 초급 간부의 현실… 처우 개선 없이는 지킬 수 없다

현재 초급 간부, 특히 하사·소위 1호봉의 기본급은 약 200만 원 수준.
각종 수당을 합쳐도 270만 원 선에 머뭅니다.

 

반면, 병장 봉급은 올해 150만 원으로 올랐고,
자산형성 지원금까지 더하면 실수령이 200만 원을 넘습니다.

 

즉, 군대 내 역할과 책임이 더 큰 간부들의 보상이
병사보다 ‘상대적으로’ 크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었던 거죠.

 

이런 배경에서 간부 선발률은 급격히 하락해,
2019년 약 90%에 달하던 선발률이 지난해엔 50%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초급 간부 급여 인상률을

일반 공무원의 2배 수준인 6.6%로 책정했고,
임기 말에는 하사 월급을 300만 원 중반대까지 올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이는 단순한 급여 조정이 아니라,
군 조직 내 중간 책임자들의 이탈을 막고, 전문성과 사기를 유지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국군
초급간부월급

 

 

📈 수당·급식비도 현실화… "당직도, 식사도 더는 버티는 일이 아니길"

 

이번 개선안에는 급여 외에도 간부들의 일상과 직결된 수당 항목들이 대폭 손질됐습니다.

먼저 당직비

  • 평일 2만 원 → 3만 원
  • 주말 4만 원 → 6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단순한 대기근무가 아닌, 부대 전체 상황을 책임지는 고강도 업무에 대한 보상이
이제서야 현실에 맞게 조정된 셈이죠.

 

또 하나 중요한 변화는 바로 식사 관련 지원입니다.

기존 간부들은 병사와 달리 급식 지원이 제한돼,
자비로 끼니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는데요,
이번에

  • 급식비는 13,000원 → 16,400원,
  • 도시락비는 8,000원 → 10,000원으로 인상됐습니다.

이는 단순히 물가를 반영한 수치 조정이 아니라,
‘제대로 된 식사’도 복무의 일부로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의미 있는 변화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예비군 훈련 보상, 말뿐 아닌 ‘실질적 보상’으로

특히 예비군 훈련비의 변화는 많은 이들이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이 될 겁니다.

  • 동원 훈련비 : 8만 2,000원 → 20만 원
  • 미참가자 훈련비 : 4만 원 → 10만 원
  • 작전계획 및 기본훈련비 : 각 2만 원 지급

이 정도면 ‘그나마 보상받는 느낌’이라는 말이
이제 조금은 현실에 가까워질 수 있겠죠.

 

예비군 훈련이 단지 “불편한 의무”가 아니라
국가 안보를 위한 실제 기여로 인정받는 구조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예비군
군인복지제도

 

🔍 단순한 돈 문제가 아닙니다

 

이런 개선안은 단순히 급여 몇 만 원이 오르는 수준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국방’이라는 가치는
그에 걸맞은 책임과 희생이 동반되며,

 

국가는 그 책임을 감당하는 이들에게 정당한 보상과 사회적 예우를 제공해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다소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고,
그 결과 간부들의 이탈, 예비군 참여 저조, 훈련 이탈 등이 점점 문제로 떠오르고 있죠.

 

이번 변화는
‘복무자 중심의 국방 환경’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이자,
군대라는 조직의 내실을 지키기 위한 구조 개편의 출발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국군의 위상, 제대로 된 대우에서 시작됩니다

우리 군은 단순히 안보의 최전선에 있는 조직이 아닙니다.
재난 구조, 해외 파병, 감염병 대응 등
다양한 역할을 해내며 그 존재의 무게를 증명해왔습니다.

 

그렇다면, 이제는
그 무게에 걸맞은 보상과 사회적 존중이 뒤따라야 하지 않을까요?

 

예비군, 간부, 병사 구분 없이
모든 군 복무자가 “내가 국가를 지키고 있다”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제도와 현실이 함께 움직이는 변화가 계속되길 기대해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