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소비쿠폰 2차] 소득 상위 10%는 제외? 난 받을 수 있을까?
👉 2025년 2차 소비쿠폰, 소득 하위 90%에게 지급 예정!
신청 대상부터 건강보험료 기준, 특례 적용까지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얼마 전 저녁 약속 자리에서 친구가 이런 얘기를 꺼냈어요.
“야, 2차 소비쿠폰 나온대. 근데 우리 같은 직장인은 또 안 주겠지?”
어랏? 나도 1차 때는 받았는데… 이번엔 못 받는다고?
그래서 슬쩍 찾아봤거든요. 역시, 얘기 나올 만했더라고요.
정부가 2차 소비쿠폰을 소득 하위 90%에게만 지급할 예정이라네요.
이거 생각보다 기준이 복잡합니다. 그냥 ‘연봉 얼마’ 이런 게 아니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 소비쿠폰 2차, 누가 받을 수 있는지
✔︎ 기준은 어떤지
✔︎ 1차는 어디에 많이 썼는지
쏙쏙 알려드릴게요. 중간에 헷갈릴 수 있는 포인트도 풀어드립니다.
🔍 2차 소비쿠폰, 전 국민은 아니다?
우선, 이번 2차 소비쿠폰은 전 국민 대상이 아니에요.
소득 상위 10%는 제외하겠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에요.
그러니까 소득 하위 90%만 1인당 10만 원 받을 수 있어요.
✔ 신청 기간 : 9월 22일 ~ 10월 31일
✔ 지급 방식 : 1차와 비슷하게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방식 등
여기서 중요한 건, “나는 하위 90%에 해당할까?”라는 점이죠.
기준은 단순 소득이 아니라 국민건강보험료가 핵심이에요.
그런데 이 건강보험료 기준이, 좀 헷갈릴 수 있어요.
- 직장가입자는 ‘소득’만 보고 보험료가 매겨져요.
- 지역가입자는 ‘소득 + 재산’을 다 고려해요.
그래서 똑같이 월급 받는 A씨와 B씨라도,
B씨가 지역가입자고 집 한 채 더 있다면 보험료가 확 껑충 뜁니다.
이러면 ‘형평성’ 논란이 생기죠.
고로 정부도 이 부분에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고 해요.
🧍♀️ 1인 가구·맞벌이 가구는 손해? 특례 적용될까?
이번 소비쿠폰 지급에서 불리할 수 있는 가구가 있어요.
바로 1인 가구랑 맞벌이 가구예요.
왜냐고요?
✔ 1인 가구는 같은 소득이라도 보험료가 더 높게 책정돼요.
✔ 맞벌이는 두 사람 각각 보험료가 부과되니까 총액이 커져요.
그래서 정부는 이런 가구들을 위해 특례 적용을 고려 중이에요.
2021년 상생지원금 때도 비슷한 방식이 있었죠.
🔸 1인 가구 : 보험료 17만 원 이하면 지급
🔸 맞벌이 : 가구원 수를 ‘+1’로 완화해 보험료 기준 완화
그 결과, 당시에도 소득 하위 80% 지급 방침이었지만,
이런 특례 덕분에 최종적으로 88% 가구가 혜택을 받았다고 해요.
그래서 이번에도 비슷한 방식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고,
정확한 기준은 9월 10일에 최종 발표된다고 하니 그때 꼭 확인하세요!
🤔 그런데… 이 기준 완벽할 수 있을까?
이쯤 되면 이런 의문이 생기죠.
"보험료로 상위 10%를 제대로 걸러낼 수 있을까?"
전문가들도 고개를 갸웃해요.
예를 들어, 은퇴한 분이 현금 소득은 없지만 집값이 올랐다면?
그분은 소득이 없어도 보험료가 높게 나오니까 제외될 수 있어요.
또 주식 배당으로만 생활하는 고령층은?
소득은 있지만 실제로는 생계형일 수도 있잖아요.
이런 사례가 너무 다양해서 정부도 “완벽하게 걸러내긴 어렵다”는 입장이래요.
이런 행정비용과 복잡한 선별 작업을 감수하면서
인당 10만 원을 지급하는 게 과연 맞느냐는 비판도 있어요.
그래도 어려운 사람들한테는 분명 도움이 되겠죠.
🍽️ 1차 소비쿠폰은 어디에 썼을까?
자, 1차 소비쿠폰은 어땠을까요?
이미 많은 분들이 받으셨고, 사용도 꽤 활발했어요.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8월 초 기준으로 카드형 소비쿠폰 사용률이 무려 51.9%
어디에 썼냐면요?
83.5%가 ‘먹거리’에 썼다고 해요!
이건 정부가 직접 조사한 내용이에요.
그중에서도
- 과일·채소류 : 70.7%
- 육류 : 66.4%
- 그 외에는 문화생활(4.5%), 생필품(3.9%) 순
확실히 물가 오르고 장바구니 부담 늘어난 요즘,
쿠폰으로 가장 먼저 채우는 건 식탁이더라고요.
지갑이 아니라 밥상에 직결되는 혜택이라 그런 듯! 😋
🛒 소비쿠폰 사용처는?
서울 중부시장 같은 전통시장에는
‘소비쿠폰 사용 가능’이라는 안내문도 붙었어요.
주로 신용카드 결제가 되는 모든 곳에서 사용 가능하지만,
대형 마트나 일부 온라인몰은 안 될 수도 있으니 꼭 체크하세요.
(사용 가능 업종은 정부 발표 때 상세히 안내해줘요!)
✅ 정리하면?
- 2차 소비쿠폰은 소득 하위 90% 대상
- 기준은 국민건강보험료 + 특례 고려 중
- 최종 기준은 9월 10일 발표
- 신청은 9월 22일부터, 인당 10만 원
- 1차 쿠폰은 먹거리 위주로 사용, 반응 좋았음!
지금 딱 중요한 시기는 “내가 받을 수 있나?”를 따져보는 시점이에요.
보험료 기준, 재산 여부, 가구 형태에 따라 달라지니
9월 10일 발표 나오면 바로 확인하고,
신청 기간 놓치지 말고 꼭 챙기세요!
그리고 받게 된다면…
올가을엔 냉장고에 과일과 고기 채워놓고
따뜻한 국물 끓이면서 “이래서 정책이 좋구나~” 느껴보자고요. 😄
'복지정책 쉽게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빌리은행, 장기연체자 빚탕감 현실로… 8100억 소각된 이유는? (8) | 2025.08.18 |
---|---|
“군복무 추납으로 국민연금 더 받는 법 - 추납조건·신청방법 총정리” (5) | 2025.08.18 |
“우체국 0호 상자 사용법|24시간 소포 보내는 방법과 우체통 접수 꿀팁” (52) | 2025.08.16 |
[2025 신용회복 정책] 코로나 연체기록 삭제! 5천만원 이하 채무자 꼭 확인하세요 (12) | 2025.08.16 |
성수동 경찰기마대, 청년주택으로 재탄생! 주거·창업·문화가 한자리에 (22) | 2025.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