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일, 다른 대우? 여성은 연금에서도 손해본다
여성의 임금 격차는 결국 노후 연금 격차로 이어집니다.
일을 덜하는 것도 아닌데, 왜 덜 받아야 할까요?
우리 사회에서 ‘여성이 겪는 차별’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은 이유입니다.
단순히 기분 탓일까요? 아니에요.
임금부터 노후 소득까지,
숫자로도 그 격차가 또렷하게 드러나고 있습니다.
최근 공개된 통계들을 보고 있자니,
"정말 여성은 평생 적게 벌고, 적게 받고,
더 많이 불안해야만 하는 걸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고요.
📉 남녀 임금 격차, 오히려 더 벌어졌다?
지난 5일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우리나라 상장법인 2980개 기업의 평균 임금을 조사한 결과,
- 남성 1인당 평균 임금: 9,780만 원
- 여성 1인당 평균 임금: 6,773만 원
무려 30.7%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작년엔 26.3%였으니, 1년 사이에 격차가 4.4%p 더 벌어진 셈이죠.
더 충격적인 건, 남녀 모두 임금이 줄었지만
여성 임금은 전년 대비 6.7%나 줄었고, 남성은 겨우 0.8% 감소하는 데 그쳤어요.
즉, 여성의 임금 감소폭이 훨씬 더 크다는 뜻이죠.
‘그래도 점차 나아지고 있겠지’ 하는 기대가 무색해질 만큼,
상황이 더 악화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산업별 격차는 더 심각해요
업종별로 보면, 격차는 더 극단적이에요.
- 도매·소매업 : 44.1%
- 건설업 : 41.6%
- 정보통신업 : 34.6%
전통적으로 남초 산업으로 분류되던 분야에서 유독 격차가 큰 모습이죠.
하지만 여성의 경제활동이 늘어나고 있다는 걸 고려하면,
"이제는 구조적 문제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어요 🤔
🏢 근속연수는 비슷해졌는데 왜?
예전엔 "여성은 오래 안 다니잖아"라는 말이
곧 임금 차이의 변명처럼 쓰이곤 했는데요,
이제는 근속연수의 차이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어요.
그래서 여성가족부는 이런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고용평등임금공시제’ 도입을 추진 중이에요.
기업별로 남녀 임금을 투명하게 공개하자는 건 결국
“차별이 드러나면 고칠 수밖에 없다”는 믿음에서 출발합니다.
차별이 눈에 보이게 되면,
그제야 사람들은 문제가 있음을 인정하고
변화를 위한 첫걸음을 떼게 되니까요. 👀
🧓 연금에서도 여성은 손해… 노후가 더 불안해요
문제는 이 임금 격차가 단순히 월급 문제에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에요.
우리나라에서 노후를 책임지는 제도인 국민연금까지도
이 임금 차이의 여파를 고스란히 안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장진희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민노후보장패널을 분석한 결과,
- 2021년 여성의 시간당 임금은 12,000원
- 같은 해 남성은 20,306원
여성은 남성의 60% 수준밖에 안 되는 임금을 받고 있는 셈이죠.
이 차이는 곧 국민연금 보험료 납입액 차이로 이어지고,
결국 노후 수령액 격차로 그대로 반영돼요.
📊 실제 연금 격차 수치는 어떨까?
- 국민연금 가입률
- 남성 : 63.5%
- 여성 : 46%
- 가입 기간
- 여성은 남성보다 평균 5.7년 짧아요
- 연금 수급 비율
- 남성 : 44.9%
- 여성 : 19.5%
- 월평균 수급액 (60대 기준)
- 여성은 남성의 57.3% 수준
심지어 70대 이상에서는 격차가 더 벌어지는 상황이에요.
노후에 점점 더 불안해지는 이 구조, 그냥 두고 볼 수 없죠 😟
🧩 왜 이런 격차가 계속될까?
장 연구위원은 여성의 임금과 연금 격차 원인을 이렇게 설명했습니다.
먼저, 여성들은 남성보다 경제활동 참여 비율이 낮아요.
그리고 출산과 육아 때문에 경력이 끊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조직 내에는 보이지 않는 ‘유리천장’이 있어
여성들이 승진이나 중요한 자리에 오르기 어려운 현실이죠.
게다가 노동시장은 ‘이중 구조’로 나뉘어 있습니다.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차이가 크고,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비정규직에 더 많이 몰려 있죠.
이 때문에 임금과 복지에서 불리한 위치에 놓입니다.
결국, 이 모든 문제는 단순한 ‘개인의 선택’ 때문이 아닙니다.
사회와 노동시장 시스템이
성별에 따라 불평등하게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격차를 줄이려면 제도와 문화 전반의 변화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그럼, 무엇을 바꿔야 할까?
장 연구위원이 제안한 개선 방안도 함께 살펴볼게요 💡
성평등 노동공시제 도입
👉 성별 임금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기
동일노동 동일임금 실현
👉 차별 없이 공정한 보상 기준 만들기
비정형 노동자에 대한 사회보장 강화
👉 플랫폼, 프리랜서 여성 노동자도 보호받아야죠
출산크레딧 확대, 유족연금 개편
👉 여성의 경력단절을 제도적으로 보완
성별 연금 격차의 공식화와 감축 목표 설정
👉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줄일 수 있는 로드맵 마련하기
🧭 남녀 모두의 문제입니다
여성의 연금 격차는 단지 여성 개인의 문제가 아니에요.
불안정한 노후는 곧 부부의 문제이고,
가족 전체의 삶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소득 격차가 누적되면,
결국 사회복지 지출이 늘고,
세대 간 부양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죠.
여성이 안정된 소득과 노후를 보장받는 구조는
가정도, 경제도, 국가도 더 건강하게 만드는 시작점이에요.
그래서 이건 ‘여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함께 풀어야 할 사회적 과제입니다.
🧠 숫자는 말합니다. 이제 바꿔야 할 때
“노후가 두렵지 않은 삶.”
그건 누구나 바랄 수 있는, 아주 기본적인 권리예요.
지금은 그 권리가 성별에 따라 차등 지급되고 있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 격차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함께 바꾸기 위해 말한다면’,
미래는 분명 달라질 수 있어요.
더 이상 “여자는 적게 벌어도 어쩔 수 없지”라는 말,
그만 듣고 싶지 않으세요? ✊
'일상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은 물이 마르는데… 호텔은 ‘놀러오세요’ 홈쇼핑?” (11) | 2025.09.08 |
---|---|
“주 4.5일제+정년연장, 진짜 올까? 일은 줄이고 월급은 그대로?” (9) | 2025.09.08 |
"층간소음 잡고 방도 내 맘대로? 현대건설이 공개한 미래 아파트 기술 4가지" (7) | 2025.09.08 |
“AI 기술력으로 10시간 작업, 3시간 만에 끝냈다!” (32) | 2025.09.08 |
2025 하반기 투자 전략: ETF·금·TDF 어떻게 담을까? (10) | 2025.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