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기록

“종이팩, 잘 버렸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헛수고?”

by 땡글이맘의 정보통 2025. 10. 16.
728x90
반응형
SMALL

♻️ “기껏 씻고 말려 버렸는데…” 

씻고 말려서 버린 종이팩,

제대로 분리하지 않으면 전부 헛수고일 수 있어요!

멸균팩 재활용, 정확하게 알고 실천해봐요.

 

요즘은 쓰레기 하나를 버릴 때도 신경이 쓰여요.
환경을 생각해서 일회용 사용을 줄이고, 분리배출도 꼼꼼히 하게 되죠.

 

특히 종이팩!
우유나 주스를 마시고 나면 씻고 말려서 따로 모아두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이 정도면 친환경 시민이지!" 하는 뿌듯함도 따라오고요. 😊

 

하지만…
이렇게 열심히 한 행동이 헛수고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유팩
종이팩분리배출

 

🧐 종이팩, '종이류'로 분리하면 안 되는 이유

많은 분들이 종이팩을 택배 상자처럼 종이류로 착각해서 분리 배출하곤 해요.
'이름이 종이팩인데 종이로 버리면 안 된다고?' 하고 의아할 수 있죠.

 

그런데 놀랍게도, 종이팩은 종이류가 아닙니다!

 

그 이유는 바로 안쪽에 코팅된 비닐이나 알루미늄 층 때문이에요.

종이팩은 '팩류'라는 별도 품목으로 분류되며,
일반 종이와는 재활용 방식 자체가 다르답니다.

 

🧃 멸균팩, 더더욱 까다로운 분리배출

게다가 요즘 많이 사용하는 멸균팩, 들어보셨나요?
상온에서도 보관 가능한 종이팩인데요.
내부에 알루미늄 코팅까지 되어 있어 더 복잡해요.

 

멸균팩은 일반 종이팩보다
🔹 더 많은 재료가 들어가고
🔹 재활용 공정도 별도로 진행돼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걸 구분하지 못한 채,
그냥 종이류로 섞어 버리고 있어요. 😢

 

서울환경연합 조사에 따르면,
👉 멸균팩과 일반 종이팩을 구분 없이 함께 버린다는 응답이 43%
👉 아예 종이류로 분리 배출해야 한다고 잘못 안다는 응답은 48%에 달했어요.

 

종이팩
종이팩 분리배출 (출처 - 관악구)

 

📉 재활용률 2%... 너무 낮은 멸균팩의 현실

재활용이 잘 안 되다 보니,

수거해도 결국 소각하거나 매립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아무리 잘 분리해서 버려도, 시스템이 받쳐주지 않으면 재활용은 어렵습니다.

 

2013년에는 종이팩 재활용률이 35%였지만,
2025년 기준으로는 13%까지 떨어졌어요.
그중에서도 멸균팩만 따지면 재활용률은 고작 2% 수준이라고 해요. 😥

 

왜 이렇게 낮을까요?

  1. 멸균팩을 따로 버릴 수 있는 수거함이 많지 않고,
  2. 일반 쓰레기와 섞이기 쉬우며,
  3. 심지어는 집 앞에 내놔도 수거가 안 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죠.

 

🚛 버릴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그래도 방법이 없는 건 아니에요!

요즘은 몇몇 지자체에서 전용 수거함을 운영하거나,
보상제를 통해 수거 참여를 유도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 서울 관악구는 1L 종이팩 10개를 가져가면 두루마리 휴지 1개로 교환
  • 광진구는 매주 목요일, 종이팩 1.5kg = 휴지 + 종량제 봉투 교환
  • 성동구는 스마트 수거함을 설치해 자동 수거 진행 중

단! 지자체마다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 거주지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수거일정과 장소를 꼭 확인하세요!

 

🚪 방문 수거도 있다! (카카오메이커스 사례)

“동사무소까지 가져가기 너무 귀찮아요…” 하신다면,
방문 수거 서비스도 일부 지역에서 시범 운영 중이에요.

 

카카오메이커스는 CJ대한통운과 협력해
📦 일반 종이팩 + 멸균팩을 함께 수거해가는 서비스
2024년 5월부터 11월까지 운영했어요.

 

이런 시범사업이 점점 확산되면,
더 많은 소비자들이 쉽게 재활용에 동참할 수 있겠죠?

 

분리배출
종이팩 수거함 (출처 - 성동구청)

 

🤔 그럼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지금까지 내용을 정리해보면,

 

🔸 열심히 씻고 말려도 ‘종이류’로 버리면 재활용 불가
🔸 멸균팩은 더더욱 구분해서 배출해야 함
🔸 재활용률은 낮지만, 동사무소나 지자체 보상제도 활용 가능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 변화에 더해
제도적인 지원과 인프라 확대가 따라줘야 한다는 점이에요.

 

서울환경연합의 설문에서도
78%가 ‘전용 수거 체계 도입 필요’에 동의했답니다.

 

🌱 작지만 의미 있는 실천, 함께 해볼까요?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편의성과 위생을 이유로 멸균팩 음료를 마시고 있죠.
그렇다면, 그 다음 행동도 환경을 생각하는 방향이면 좋겠어요.

 

✔ 분리수거를 더 정확하게
✔ 지자체 수거제도 확인하기
✔ 가능한 한 멸균팩 사용 줄이기

 

이 세 가지만 기억해도, 꽤 큰 변화를 만들 수 있답니다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