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복지정책 쉽게 알기

“2025 지특회계 10조원 확대! 공공기관 2차 이전·지역성장전략 총정리”

by 땡글이맘의 정보통 2025. 8. 23.
728x90
반응형
SMALL

🌱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지역이 중심이 되는 시대가 온다!

“정부가 2025년부터 지특회계를 10조 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공공기관 2차 이전과 초광역권별 지역성장전략을 통해

지방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본격화합니다.”

 

오늘은 2025년 8월 정부가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이제는 지역이 주인공이 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했다는 거죠.

 

지방에 대한 투자와 지원이 크게 확대되고,

서울 중심의 시스템에서 벗어나

전국 각 지역이 각자의 방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판이 새로 깔린 거예요.

자, 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지 하나씩 살펴볼까요?

 

기재부
출처 - 기재부

 

🔥 ‘진짜 성장’을 위한 3대 목표

정부는 이번 전략의 핵심 비전으로 ‘경제 대혁신을 통한 진짜 성장 구현’을 제시했어요.
흔한 구호 같지만, 그 안에 담긴 목표는 꽤나 야심차죠.


1️⃣ AI 3대 강국 도약
2️⃣ 잠재성장률 3% 달성
3️⃣ 국력 세계 5강 진입

 

이 세 가지 목표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특성을 살린 산업들을 키우고,

지방이 스스로 먹고사는 힘을 갖게 하겠다는 거예요.

 

📍 초광역별 특화 ‘성장엔진’ 뜬다!

이제 수도권만 잘 사는 구조는 안 된다!
그래서 정부는 5개 초광역권

각각 다른 ‘성장엔진’을 장착해 AI 대전환과 산업 고도화를 이끌기로 했어요.

  • 대경권(대구·경북) : 로봇, 자동차 부품, 철강, 2차전지
  • 서남권(전북·광주·전남) : AI, 미래 모빌리티, 재생에너지
  • 동남권(부산·울산·경남) : 자동차, 조선, 우주항공, 석유화학, 철강
  • 중부권(대전·충청) :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바이오
  • 강원·제주권 : 관광, 청정에너지

각 지역이 잘할 수 있는 걸 중심으로 키우자는 전략인데,

구체적인 산업군은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머리 맞대고 정할 예정이에요.
해당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 입장에서는 꽤 반가운 소식이겠죠?

 

🚄 공공기관 2차 이전, 다시 시동 건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 기억하시죠?
한동안 잠잠했던 이 작업이 다시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정부는 올해 하반기에 2차 이전 대상 기관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이전 로드맵을 수립할 계획이에요.
이제는 “이사 갑니다~”만 말하는 게 아니라,

어느 기관이 어디로, 언제쯤 갈 수 있을지 계획표가 그려지는 거죠.

 

아직 구체적인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번 성장전략 안에 2차 이전이 포함됐다는 건 의지가 꽤 강하다는 신호랍니다.
관련 논의는 앞으로 쭉쭉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네요!

 

지방
지방균형발전

 

💰 지특회계, 무려 10조원으로 확대!

들어는 봤지만 좀 낯선 단어, 지특회계!
이건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주는 돈인데요,

내년에 무려 10조 원 이상으로 대폭 확대된다고 해요.

 

올해는 3조 8천억 원이었으니, 거의 3배 가까이 늘어나는 셈이죠.

어마어마합니다!

이 돈은 단순히 뿌리기용이 아니에요.

 

비수도권, 인구 감소 지역 등 열세 지역에 우선적으로 지원된다고 하니,

정말 필요한 곳에 제대로 쓰일 수 있도록 방향을 잡은 거죠.

 

🧳 지역 관광·벤처·투자, 올인 선언!

흥미로운 소식 하나 더!
정부는 ‘K-지역관광 토탈패키지’ 사업을 신설해

관광도 전략적으로 키우기로 했어요.

 

숙박, 교통, 음식, 체험까지 한 번에 묶어서 지원하고,

규제도 쓱~ 완화해주는 방식이에요.
지역에서 여행업 하시는 분들, 귀 쫑긋하셔야겠죠?

 

또한, 지방으로 기업이 이전하거나 신규 투자를 하면 지원금도 팍팍 늘어납니다.
특히, 지금은 대규모 투자에만 입지보조금이 나갔는데,

앞으로는 중소기업에게도 입지보조금을 줄 수 있도록 제도를 손질할 거라고 해요.

 

여기에 지방시대 벤처펀드 → 지역성장펀드로 확대 개편,
지역 투자 인정 비율 특례(100→120%)도 2030년까지 연장!

투자자들에게도 지방이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도록 만들겠다는 거죠.

 

🎓 서울대 10개 만들기? 가능할지도?

대선 공약으로 나왔던 ‘서울대 10개 만들기’, 혹시 기억나시나요?

이 계획도 슬슬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된 연구와 교육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방대학들이 관련 학과를 유연하게 조정하면 인센티브도 줄 예정이래요.

지방 사립대의 입학생 감소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이 같은 지원은 지역 대학의 활로를 찾는 데 큰 힘이 될 수 있겠죠.

 

기재부
출처 - 기재부

 

🌊 북극항로, 새로운 물류 혁신?

마지막으로 하나 더 흥미로운 포인트!
정부는 북극항로의 상업 항로화도 추진하겠다고 밝혔어요.

이건 지역 개발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우리나라 물류 경쟁력 강화와 해운 산업의

새로운 기회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전략이랍니다.
부산, 울산 등 해양 산업 중심 도시에도 꽤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요.

 

🌟 지방이 중심이 되는 경제, 이제 시작!

정부가 내놓은 이번 전략은 말 그대로

지방이 중심이 되는 경제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볼 수 있어요.

 

AI, 관광, 에너지, 반도체, 교육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맞춤형 성장모델을 통해

대한민국 전체가 더 탄탄해지는 그림을 그리고 있죠.

 

지금까지는 "지방이 밀린다"는 말이 익숙했지만,

이제는 "지방이 기회다!"라는 말이 현실이 될지도 모르겠어요.

 

내가 사는 지역이 어떻게 바뀌게 될지, 앞으로 뉴스도 꼼꼼히 지켜보면 좋겠죠?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