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 하면 못 받는 제도”… 잔인하지 않나요?
복지, 왜 꼭 ‘신청’해야 받을 수 있을까요?
신청주의의 벽을 넘어 자동지급 복지로 가기 위한 현실적인 해법을 짚어봅니다.
“가만히 있으면 복지 못 받아요. 꼭 신청하셔야 해요!”
이 말, 너무 익숙하시죠?
그런데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복지라는 건 원래 힘든 사람을 돕는 제도인데,
그걸 알리고 찾아가야만 받을 수 있다면…
진짜 필요한 사람은 과연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재명 대통령도 최근 이런 현실을 꼬집었어요.
“신청주의는 매우 잔인한 제도다.”
지원이 필요해도, 몰라서, 혹은 신청이 어려워서 받지 못하면
그 결과는 고스란히 ‘당사자’의 몫이라는 거죠.
🔍 자동 지급, 정말 불가능한 걸까요?
사실 이미 기술은 준비돼 있어요.
국세청은 ‘실시간 소득 파악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복지 사각지대를 찾아내는 데이터 분석 시스템도 점점 정교해지고 있죠.
그러니까… 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
“이 사람, 지금 상황이 안 좋네. 지원하자!”
이걸 자동으로 판단하고, 신청 안 해도 지급하는 시스템이요.
전문가들도 말합니다.
"법만 뒷받침된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예를 들어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같은 한시적 제도를
실험 무대로 삼아 자동 지급을 테스트해보자는 의견도 있어요.
💸 행정력 낭비 줄이고, 진짜 필요한 사람에게
현재 방식은 사실 비효율적이에요.
예를 들어 소득 하위 90%에게 쿠폰을 지급한다면,
나머지 10%를 걸러내기 위해 전 국민이 신청서를 써야 하는 상황이 되는 거죠.
그 수많은 신청서, 그걸 검토하는 인력, 시간…
“왜 이걸 굳이 이렇게?” 싶은 거예요.
자동으로 소득을 분석해서 지급하면,
- 신청서를 써야 하는 국민의 번거로움도 줄고
- 처리해야 할 지자체 공무원의 업무 부담도 확 줄고
- 복지 누락자도 최소화될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왜 아직 안 돼요?
바로 ‘개인정보’ 문제 때문이에요.
신청 없이도 복지를 지급하려면,
당연히 모든 국민의 소득, 부동산, 금융 정보를 정부가 들여다봐야 해요.
그리고 이걸 ‘동의 없이’ 해야 하죠.
그런데… 그게 쉽나요?
누군가는 "프라이버시 침해다!" 하고 반발할 수 있고,
법적으로도 개인 정보 보호가 빡빡하게 정해져 있다 보니
현행 제도 안에서는 한계가 있는 거죠.
📜 그럼 방법은 없을까요?
방법, 있어요.
전문가들은 제안합니다.
우선 사회보장급여법에
"긴급한 국가적 지원이 있을 땐
전 국민이 '신청한 것'으로 간주"하는 조항을 넣자.
그 후 사회적 논의 를 거쳐,
사회보장기본법이나 헌법 차원에서
'복지는 신청주의가 아닌 자동지급으로 가야 한다'는 방향을 명문화하자.
이런 식으로 점진적으로 바꾸는 거죠.
한 번에 다 바꾸는 건 어려울 수 있지만,
한시적 복지부터 테스트하면서 실효성과 국민 반응을 확인할 수 있다면?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 복지는 ‘알아서’ 챙겨줘야 하는 거 아닐까요?
우리는 흔히 말하죠.
“복지는 안전망이다.”
그런데 지금 이 안전망,
자기소개서 내고, 인터뷰 보고, 서류 통과해야 걸릴 수 있는 그런 구조예요.
진짜 어려운 사람일수록 이런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해요.
그러니까 이제는,
"필요한 사람을 먼저 찾는 복지"로 가야 합니다.
무언가를 ‘신청’하지 않아도,
위험 징후가 보이면 먼저 손 내미는 시스템.
지금 시대에 불가능한 이야기가 아니에요.
이미 도구는 있고, 문제는 의지와 제도뿐이죠.
🙋♀️ 우리 모두의 ‘가능성’에 투자할 때
복지는 시혜가 아니라 권리입니다.
그리고 그 권리를 지키는 방식이 신청이 아니라 발견이라면,
우리는 한 걸음 더 따뜻한 사회에 다가가는 거겠죠.
“복지 신청주의는 잔인하다.”
이 말을 공감했다면,
이제는 그 대안도 함께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자동지급, 어려워 보여도 충분히 가능한 변화입니다.
우리의 제도도 이제,
‘찾아가는 복지’로 진화해야 하지 않을까요? 🧭
'복지정책 쉽게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정부 지원정책 총정리] 청년·서민 생활비 줄여주는 꿀팁 모음 (14) | 2025.08.23 |
---|---|
“서울시 쿨루프 지원사업 후기 : 전기요금 절감 효과, 설치방법까지 총정리!” (15) | 2025.08.23 |
“가정폭력 피해자 이사비, 왜 이렇게 받기 어려울까?” (8) | 2025.08.22 |
택시앱이 어려운 시니어의 고충... (12) | 2025.08.22 |
"긴급생계비 10만원 지원, 홍길동은행이 뭐야?" (10)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