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혼부부·신생아 가족 주목!
2025년 신혼부부·신생아 가구를 위한 매입임대주택 Ⅱ유형,
까다로운 신청 조건을 무주택·소득·자산 기준까지 쉽게 풀어드립니다!
2025년 LH 매입임대주택 Ⅱ유형, 꼭 알아야 할 조건 총정리!
결혼하고 아이를 낳으면 제일 먼저 부딪히는 현실적인 문제, 바로 주거 걱정이죠.
정부에서도 이런 상황을 잘 알고 있기에, 신혼부부나 신생아가 있는 가정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을 운영하고 있어요.
그 중에서도 오늘 소개할 제도는 바로 ‘매입임대주택 Ⅱ유형’.
2025년 7월 현재 LH에서 모집 중인 제도인데요,
조건만 맞는다면 시세보다 훨씬 저렴하게 안정적인 주거를 10년 이상 보장받을 수 있어요.
다만, 신청 조건이 꽤 복잡해서 처음 보는 분들은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나씩 짚어드릴게요.
"내가 신청 대상인지?" 빠르게 체크할 수 있는 자가진단도 넣었으니 참고하세요!
🏠 매입임대주택 Ⅱ유형이란?
‘매입임대’라는 이름처럼,
LH가 민간 주택을 사들여서 자격을 갖춘 가구에게
시세보다 훨씬 저렴하게 임대해주는 공공임대주택이에요.
💡 핵심 포인트
• 시세의 70 ~ 80% 수준의 임대료
• 기본 10년 거주 보장, 자녀 있으면 최대 14년까지
• 전세가 부담스러운 신혼 • 청년 • 육아 가구에게 아주 실속 있는 선택지
Ⅱ유형은 기존의 Ⅰ유형에 비해 임대료는 조금 높은 대신
소득 기준이 더 넉넉하고 중산층도 신청 가능하다는 점에서 접근성이 더 좋아요.
💡 나도 해당될까? 1분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신청 조건이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아래 항목 중 4개 이상 YES라면
가능성이 꽤 높습니다. 본격적으로 준비해보셔도 좋아요!
✅ 본인과 세대원(같은 등본상 가족) 모두 무주택자이다
✅ 혼인 7년 이내거나, 예비부부이다
✅ 자녀가 있거나, 최근 2년 내 출산·입양했거나 임신 중이다
✅ 외벌이 소득이 650만 원 이하 / 맞벌이 소득이 1,200만 원 이하이다
✅ 총 자산이 3억 6천만 원 이하이고, 차량가액은 4,300만 원 이하이다
📋 신청 조건, 꼼꼼하게 정리해드릴게요!
① 무주택 요건 – 세대원 전체 적용!
이 부분이 특히 중요해요.
신청자 혼자만 무주택이면 되는 게 아니라,
같은 주민등록등본에 있는 모든 사람이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부모님, 형제자매와 함께 사는 분이라면
이분들도 집을 가지고 있으면 신청이 불가해요.
(단, 세대분리가 되어 있다면 관계없습니다.)
② 소득 기준 – 생각보다 넉넉해요
정부는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소득 조건을 정해요.
2025년 기준, 아래와 같습니다.
- 외벌이: 평균소득의 130% 이하
→ 3인 가구 기준 약 653만 원 이하 - 맞벌이: 200% 이하
→ 3인 가구 기준 약 1,005만 원 이하
※ 가구원 수가 늘어나면 기준도 그에 맞게 더 높아져요.
즉, 넉넉한 중산층도 충분히 신청할 수 있는 제도예요!
③ 자산 기준 – 은근히 체크 많이 되는 부분
- 총 자산: 3억 6,200만 원 이하
- 차량가액: 4,355만 원 이하
예금, 적금, 주식, 보험 등 모든 금융자산과 차량이 포함돼요.
이 기준을 넘으면 소득이 낮더라도 신청 불가니까 꼭 체크해야 합니다.
④ 우선순위 – 자녀 유무와 혼인 상태가 기준
1순위 | 최근 2년 이내 출산·입양 or 임신 중 |
2순위 | 자녀가 있는 신혼부부 또는 한부모가정 |
3순위 | 자녀 없는 신혼부부 (혼인 7년 이내) |
4순위 | 예비부부 (입주 전 혼인신고 필요) |
※ 신청은 누구나 가능하지만,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당첨 확률도 올라갑니다!
🫒 공급지역별 임대료 예시와 참고사항
2025년 7월 기준, LH 매입임대주택Ⅱ유형의 공급 지역별 임대료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 역 | 임대보증금(원) | 월 임대료(원) |
서울 은평구 | 약 32,000,000 | 약 154,000 |
서울 양천구 | 약 35,000,000 | 약 160,000 |
서울 용산구 | 약 38,000,000 | 약 170,000 |
서울 마포구 | 약 40,000,000 | 약 180,000 |
경기 수원시 | 약 30,000,000 | 약 140,000 |
경기 성남시 | 약 28,000,000 | 약 130,000 |
부산 해운대 | 약 33,000,000 | 약 150,000 |
대구 동구 | 약 29,000,000 | 약 135,000 |
이러한 임대료는 해당 지역의 시세의 약 60~80% 수준으로 책정되며,
공급 대상자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청 전에 해당 지역의 구체적인 임대료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급 지역별 임대료는 LH청약플러스 웹사이트나 해당 지역의 LH 사무소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임대료는 주택의 면적, 위치, 층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해당 기관에 꼭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신청 방법, 어렵지 않아요
- LH청약플러스 사이트(https://apply.lh.or.kr) 접속
- 매입임대주택 Ⅱ유형 공고 확인
- 온라인으로 신청서 작성
-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등 서류 제출
- 자격 심사 → 당첨 시 계약 진행
📞 궁금한 점은 LH 콜센터(1600-1004)나 지역본부에 문의하시면 친절하게 안내해줘요!
📌 마무리 요약
“무주택 신혼·신생아 가구라면, 매입임대주택 II유형으로
시세보다 저렴하게 10년 이상 안정된 집 마련 가능!”
조건만 잘 맞춘다면
적은 초기 비용 + 긴 거주 보장 + 가족의 안정까지
확실히 챙길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복지정책 쉽게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사칭 주의! 클릭 한 번에 유료서비스 가입될 수 있습니다 (6) | 2025.07.04 |
---|---|
2025년 7월 31일까지 사회서비스 본인부담금 미환급금 조회 방법 – 복지로에서 내 돈 찾기! (2) | 2025.07.04 |
[청년 전세사기 예방] 보드게임으로 배우는 전세계약, 전국 청년센터에서 무료교육! (10) | 2025.07.03 |
[2025폭염 대비] 정부 무더위쉼터 위치 찾는 법 - 어르신도 쉽게 이용하는 방법 총정리 (8) | 2025.07.03 |
자립준비청년 보호종료확인서, 이제 정부24에서 온라인 발급하세요! (6)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