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놓치면 후회! 2025년 2학기 국가장학금 신청 총정리
2025년 2학기 국가장학금 2차 신청이 시작됐어요!
놓치면 1년 날아가니 신청 대상부터 지원 금액, 신청 팁까지 꼼꼼히 챙겨보세요.
드디어 돌아왔습니다!
2025학년도 2학기 국가장학금 2차 통합 신청 기간이 시작됐어요.
“에이~ 지난번에 놓쳤는데…” 하셨던 분들, 이번 기회는 꼭 잡으셔야 해요.
국가장학금뿐 아니라 주거안정장학금, 근로장학금까지
한 번에 신청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니까요.
그럼, 이번 글에서는
📝 신청 기간부터
📌 대상자,
💰 지원 금액,
📲 신청 방법까지
알짜 정보만 모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신청 기간부터 체크!
- 2025년 8월 13일(수) 오전 9시부터
- 9월 10일(수) 오후 6시까지
📌 신청 가능한 시간은?
👉 24시간 가능,
단! 마감일은 오후 6시까지만 접수 가능하니 꼭 미리미리 신청하세요.
👥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이번 2차 신청은 거의 모든 대학생이 해당됩니다.
- 재학생
- 신입생 (2학기 입학 예정자)
- 복학생
- 편입생
- 재입학생
특히! 재학생인데 1차 신청을 놓친 분들,
이번 2차 신청을 놓치면 올해 국가장학금은 끝이에요.
진짜 진짜 꼭 신청하세요. 🙏
📚 이번에 신청 가능한 장학금은?
✅ 1. 국가장학금 Ⅰ유형
모두가 아는 바로 그 장학금!
소득 수준에 따라 등록금 일부를 국가가 대신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2025년부터 단가가 인상됐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소득구간 | 2학기 지원액 |
1~3구간 | 300만 원 |
4~6구간 | 220만 원 |
7~8구간 | 180만 원 |
👉 다자녀 가구의 경우, 지원 금액은 구간별로 추가 인상되었답니다!
✅ 2. 주거안정장학금 (NEW!)
2025년부터 새롭게 등장한 따끈따끈한 장학금이에요!
기초·차상위 계층 중 원거리 진학한 학생들에게
📦 월 최대 20만 원씩 주거비를 지원합니다.
부모님 집에서 먼 학교 다니는 친구들에게는 진짜 반가운 제도죠!
✅ 3. 국가근로장학금
수업만 듣기엔 뭔가 아쉬운 대학생활.
교내‧외에서 일하면서 장학금도 받고 실무 경험도 쌓을 수 있는 제도예요.
- 한국장학재단과 소속 대학 기준에 따라 선발
- 주어진 시간 동안 근로하면 시급+장학금이 따로따로!
공부도 하고, 경력도 쌓고, 생활비도 지원받고… 이건 안 할 이유가 없어요.
💻 신청 방법은? 간단해요!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 www.kosaf.go.kr - 또는
📱 한국장학재단 앱에서 바로 신청 가능
👉 신청서 작성 +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까지 모두 완료해야 접수 완료예요!
🤔 궁금한 점은? 여기도 확인하세요!
- ☎ 1599-2000
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 - 🏢 가까운 지역 재단센터 방문
청년창업센터나 지역센터에 가면
1:1 맞춤형 상담도 가능해요!
📊 소득구간 산정, 어떻게 될까?
"나는 1~3구간이겠지!" 하고 막연히 생각하는 분들 많죠?
하지만 실제로는 소득구간 산정이 생각보다 까다로워요.
가구원(부모 또는 배우자)의 소득과 재산을 바탕으로
‘소득인정액’을 계산해서 구간이 정해집니다.
이걸 위해 꼭 해야 하는 절차가 있어요!
✅ 가구원 정보 제공 동의
장학금 신청 후, 가구원이 본인 명의로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 공동인증서로 앱 접속 후
‘정보 제공 동의’를 완료해야 소득구간 심사가 진행돼요.
👉 이걸 깜빡하면? 아무리 신청서를 잘 써도 탈락 처리될 수 있어요!
📎 서류 제출 대상자는 꼭 확인!
장학금 신청하면 모든 사람이 서류를 제출하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일부는 추가로 서류 제출이 필요해요.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 또는 앱에서
신청 후 1~3일 이내에 [서류 제출 대상 여부] 꼭 확인해 주세요!
서류 제출 대상일 경우엔
-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 수급자 증명서 등
필요한 서류를 마감 기한 내에 업로드해야 심사가 완료됩니다.
⛔ 서류 누락되면? 장학금 지급 ‘탈락’할 수 있으니 꼭 주의!
🎯 마무리 한마디
장학금은 단순한 혜택 그 이상입니다.
어쩌면 우리 삶의 여유와 기회를 만들어주는 중요한 지원제도죠.
특히 이번 2차 신청은
한 번에 여러 장학금을 통합 신청할 수 있는 찬스이기 때문에
신청 조건이 맞는다면 꼭 챙겨야 해요.
신청 기간은 길어 보여도 “내일 해야지…” 하다 보면 금방 마감일입니다.
부담 없이 10분만 투자해서, 등록금도 덜고 생활도 가볍게!
우리 모두 현명한 대학생 되자고요 😄
'복지정책 쉽게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택시앱이 어려운 시니어의 고충... (12) | 2025.08.22 |
---|---|
"긴급생계비 10만원 지원, 홍길동은행이 뭐야?" (10) | 2025.08.21 |
청년도약계좌 해지 급증 이유 - 청년 자산정책 현실과 한계는? (14) | 2025.08.21 |
상생페이백 신청방법 - 최대 30만 원 환급 받는 법 (10) | 2025.08.21 |
“학교 영양사 폐암 산재 첫 인정, 급식실 조리 흄의 진실” (12) | 2025.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