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DF ETF가 뭐길래 이렇게 뜨거울까?
“퇴직연금으로 인기 높던 TDF ETF, 금융당국의 규제로 선택지가 줄어들 위기에 놓였습니다.”
요즘 퇴직연금 계좌로 투자하는 분들 사이에서 TDF ETF가 인기예요.
이름은 좀 어려워 보이지만, 간단히 말하면
"내 은퇴 시점에 맞춰 자산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ETF"라고 보면 돼요.
예를 들어 TDF 2050은
“2050년에 은퇴할 사람을 위한 포트폴리오”라는 의미예요.
초반에는 주식처럼 수익률 높은 자산 비중을 높이고,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채권이나 안전자산 위주로 바뀌어요.
즉, 알아서 리밸런싱해주는 똑똑한 장기투자 상품인 셈이죠.
💼 ETF로 바뀌면서 더 쉬워졌다!
기존 TDF는 펀드 형태였어요.
그래서 일단 목돈을 넣으면 쭉 묶여 있는 구조였죠.
그런데 ETF는?
언제든 사고팔 수 있어요!
그 덕분에 직장인들은 월급날마다 퇴직연금 계좌로 조금씩 사모으며 투자하고 있어요.
소위 말하는 ‘따박따박 투자’가 가능해진 거죠.
운용 규모도 빠르게 성장 중이에요.
2025년 9월 기준 국내 TDF ETF 자산은 7374억 원!
아직 전체 TDF 시장의 5%에 불과하지만
불과 한 달 사이에도 14%나 늘었다고 하니 인기가 실감 나죠.
💰 수수료도 착해서 인기
또 하나의 장점은 낮은 보수예요.
기존 펀드형 TDF는 판매보수까지 포함돼서
연간 총보수가 1%를 넘는 경우도 있어요.
하지만 TDF ETF는?
판매보수가 없어요.
예를 들어 KODEX TDF 2050 액티브 ETF는 총보수 0.3%,
TIGER TDF 2045 ETF는 0.19%밖에 안 돼요.
이건 진짜 큰 차이예요.
1억 원을 20년 동안 투자하면,
수천만 원 차이가 날 수 있거든요.
⚠️ 그런데 지금, 퇴출 위기?
그런데 말입니다…
최근 금융당국이 TDF ETF를 퇴직연금 상품에서 제외하는 걸 검토 중이라는 소식이 나왔어요.
꽤 충격적인 이야기죠.
그 이유는 단 하나.
"ETF는 수시로 사고팔 수 있어서 장기 투자 취지에 맞지 않다"는 건데요.
이 말, 얼핏 들으면 일리 있어 보여요.
ETF는 주식처럼 실시간 매매가 가능하다 보니,
중간에 손절하거나 타이밍을 노리고 사고파는 유혹이 생기기 마련이니까요.
📉 실제 수익률 차이도 존재해요
실제로 이런 현상은 수익률 차이로도 나타나요.
신용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지난 10년간 주식형 ETF의 평균 수익률은 연 8.2%였어요.
그런데 정작 투자자들이 실제로 손에 쥔 수익률은 연 7.0%였다고 해요.
무려 1.2%포인트나 차이가 났죠.
이 차이, 어디서 생겼을까요?
바로 타이밍 매매 때문이에요.
싸게 샀으면 좋았겠지만, 현실은 대부분
비쌀 때 사고, 쌀 때 파는 실수를 한다는 거죠.
금융당국은 이런 투자 패턴이
퇴직연금처럼 오랜 기간 묶어두는 자산과는
잘 맞지 않는다고 보는 거예요.
🆚 업계는 반발 중이에요
하지만 운용사와 투자자들의 반응은 사뭇 달라요.
“매매는 더 자주 하더라도, 장기 보유 흐름은 유지되고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어요.
실제로도 그런 사례가 있어요.
예를 들어 올봄, 미국 증시가 갑자기 급락했을 때,
투자자들이 ETF를 잠시 매도해 손실을 피하고,
시장이 안정되자 다시 진입해 수익률을 방어했다는 사례가 있었어요.
즉, ETF는 ‘매매가 자유롭다’는 특성이 단점만은 아니다는 얘기죠.
상황에 따라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건,
오히려 장기 투자에 도움이 되는 경우도 있는 거예요.
특히 요즘처럼 시장이 불안정할 땐
완전히 묶여 있는 펀드보다, ETF가 더 유용하다는 의견도 많아요.
그래서 단순히 ‘매매가 잦다’는 이유만으로
퇴출을 논의하는 건 너무 이른 판단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요.
🧭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
퇴직연금에서 TDF ETF가 제외된다면, 투자자 입장에선 혼란스러운 상황이 생길 수 있어요.
그동안 낮은 수수료와 유연한 적립이 가능했던 좋은 선택지가 사라지는 셈이니까요.
기존에 연금계좌로 ETF를 꾸준히 사 모으던 투자자들은
자산을 환매하거나 다른 상품으로 갈아타야 해요.
또는 계좌 안에서 자산 배분 전략을 새로 짜야 하죠.
TDF ETF의 장점은 단순히 사고파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이에요.
빈티지에 맞춰 위험자산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줘서
초보자도 장기 투자하기 좋았거든요.
게다가 수수료도 펀드보다 훨씬 낮아요.
20~30년 이상 장기 보유할수록, 그 차이는 더 커지죠.
물론 금융당국 입장처럼 ETF의 매매가 잦은 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실제로는 월급날마다 자동으로 적립하는 투자자도 많아요.
펀드처럼 묶어두지는 않지만, 장기 전략으로 운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죠.
그래서 단순한 퇴출보다는,
장기 보유를 유도할 수 있는 가이드나 기준이 함께 마련되길 바라는 목소리가 나와요.
투자자의 선택권과 제도의 취지를 모두 살리는 방향이 필요하다는 얘기죠.
🧓 지금은 ‘노후 준비’를 다시 생각할 때
요즘 우리 사회는 ‘거안사위(居安思危)’라는 말이 참 와닿아요.
편할 때 위기를 대비해야 진짜 준비된 삶이잖아요?
은퇴는 아직 멀어 보이지만,
그때 가서 “어쩌지?” 하고 고민하기보다는
지금부터 내가 고를 수 있는 투자 방법을 제대로 이해하고 선택하는 게 중요해요.
TDF ETF가 과연 장기투자에 부적합한지,
혹은 시대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투자처인지는
앞으로 더 논의가 필요하겠죠.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우리 노후는 우리가 미리 챙겨야 한다는 것!
'일상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배꽁초 하나쯤 괜찮다고요? 하수구에 버리면 벌어지는 일” (4) | 2025.09.21 |
---|---|
국립공원 ‘등반신고제’ 논란… 산악계가 뿔났다 (4) | 2025.09.21 |
“해킹 피해, 한국 10만원 미국 수천만원” (5) | 2025.09.20 |
[개인정보 유출 확인법] 롯데카드 해킹 피해자 조회 및 대처법 총정리! (10) | 2025.09.19 |
미국 특허에도 세금? 대법원 판결로 바뀐 특허 과세 기준 총정리! (9) | 202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