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기록

국립공원 ‘등반신고제’ 논란… 산악계가 뿔났다

by 땡글이맘의 정보통 2025. 9. 21.
728x90
반응형
SMALL

🏞️ 산에 가려면 예약부터?

“등산도 이젠 마음대로 못 간다?

국립공원의 ‘등반신고제’에 산악인들과 지역 상권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요즘 산 좀 타본 분들 사이에서 이런 말이 돌고 있대요.
“등산이 아니라 출근이다.

이유는? 신고부터 해야 하니까!”

 

🙃 웃픈 농담이죠.

근데 이게 단순한 농담으로 끝날 얘기가 아니더라고요.

 

국립공원공단이 확대 시행 중인 ‘등반신고제’ 때문에

전국의 산악인들과 지역 상인들까지 들썩이고 있습니다.

지난 9월 13일엔 서울 우이동에서 대규모 집회도 열렸어요.

 

 

등산
등산

 

⚠️ 등반신고제, 뭐가 문제길래?

 

일단, 등반신고제는 단순한 ‘신고’ 수준이 아니라는 게 핵심입니다.
산악계는 “사실상 등산 허가제 아니냐”고 말하죠.

 

온라인 사전예약, 기상 상황에 따른 자의적 입산 통제,

그리고 규정 위반 시 과도한 벌점까지...

우리 산은 더 이상 자유롭게 오를 수 있는 곳이 아니게 됐다”는 게 산악인들의 목소리입니다.

 

📱 앱으로만 예약? 중장년층은 어쩌라고요

요즘 대부분의 등반신고는 모바일 앱을 통해 이뤄지는데요,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에게는 이게 큰 장벽입니다.

 

심지어 비가 안 오는데도

‘비 소식’만으로 탐방로를 폐쇄하는 경우도 있어서,
산행은커녕 입구에서 발길을 돌리는 일이 다반사라고 해요.
이러니 산을 찾는 발걸음이 줄어드는 건 당연한 일.

 

🛍️ 산에 사람 안 오면… 동네 상인들 생계도 흔들!

산에 사람이 줄면, 그 주변에서 장사하는 지역 상인들은 말 그대로 생계가 흔들립니다.

특히 북한산과 도봉산 입구인 우이동과 도봉동 상권이 타격을 직격으로 받고 있어요.
주말마다 나오는 비 소식에 “아예 장사 포기하고 쉰다”는 말도 나온다고 하네요.

 

기상청 예보만 믿고 입산 통제하지 말고, 현장 상황 좀 봐줬으면…”
이게 지역 주민들과 상인들의 간절한 바람입니다.

 

항의
등반신고제

 

🔥 산악인들의 분노, 행동으로 터져 나왔다

산악계는 “우리의 100년 산악문화가 흔들린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요.
한국산악회, 대한산악연맹, 대학산악연맹 등 4대 산악단체
지역 상인회와 함께 공식적으로 등반신고제 철회를 요구 중입니다.

 

특히 북한산 인수봉, 도봉산 선인봉 같은 곳은
국내 알피니스트들의 성지이자, 세계적으로도 상징적인 등반지인데요.
이곳마저도 규제 대상에 포함되면서 분노는 더 커졌죠.

 

🏗️ 자연 훼손도 문제… 백운대 계단 공사, 정말 필요했을까?

규제 외에도 문제는 또 있습니다.
최근 백운대 정상부에 설치된 철제 계단이 대표적이죠.

 

“예전엔 바위 오르는 재미가 있었는데,
이젠 등산로가 아니라 그냥 ‘철길’ 같다”는 등산객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어요.

 

백운산장 철거탐방로 정비 공사 중에는
포크레인, 철제 자재들이 탐방로에 널려 있어
“자연 보호가 아니라 오히려 훼손 중”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

 

🌍 해외는? 개인 책임+자율 존중이 기본

같은 산인데, 외국은 어떨까요?

일본이나 유럽은 산을 국민의 권리로 보고,
위험에 대한 책임은 개인이 지는 걸 원칙으로 삼아요.

 

공공기관은 자연을 ‘관리’하는 게 아니라,
국민 모두의 ‘공유 자산’으로 존중하는 거죠.

 

산악계는 이를 ‘대자연 시민권’이라는 개념으로 소개하고 있어요.
산은 우리의 것이고, 국립공원도 국민의 것이다라는 주장입니다.

 

산
알피니즘

 

“알피니즘의 정신, 그리고 우리의 권리를 지켜주세요”

이런 흐름 속에서 한국산악회를 중심으로 한 ‘등산허가제 대책협의회’가 만들어졌고,
매주 1인 시위와 함께 10만 명 서명운동도 벌어지고 있어요.

 

“등반은 모험이고, 그 안에는 책임도, 자유도 함께 있어야 한다”는 게
이들이 말하는 ‘알피니즘의 정신’입니다.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 정신을
우리 행정이 더 이상 짓누르지 않길 바라는 거죠.

 

🏕️ 산은 누구의 것인가?

결국 이 논란의 핵심은 한 가지 질문으로 모입니다.
“산은 누구의 것인가?”

국립공원공단의 규제가 정말 안전과 보존을 위한 것인지,
혹은 지나치게 행정 편의를 앞세운 것인지에 대해선

여전히 논쟁이 이어지고 있어요.

 

하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자연을 보호하는 일과, 자연을 즐기는 권리는

서로 충돌하는 게 아니라 공존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 등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산은 단순한 취미 공간이 아니라 삶의 일부이기도 하죠.
그만큼 등산객들도 자연을 아끼고, 책임 있게 산을 대할 필요가 있어요.

 

반대로, 행정기관도 국민이 자연 속에서 자유롭게 호흡할 수 있는 권리
더 깊이 이해하고 존중해줬으면 합니다.

 

🌿 산은 우리 모두의 것이고,
우리가 함께 지키고 누려야 할 소중한 자산이니까요.

 

자연을 지키며 자유롭게 즐기는 등산 문화,
이제는 서로를 탓하기보다 존중하고 균형을 찾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