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우가 쏟아지던 날, 하수구에서 발견된 장면
“하수구에 버린 담배꽁초 하나, 바다를 오염시키고
결국 우리 아이 몸속까지 들어올 수 있습니다.”
지난 9월, 전북 군산.
200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 한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던 날이었죠.
물바다로 변한 거리에서 가까스로 침수를 피한 한 동네에,
작은 사진 한 장이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었습니다.
사진 속 노인은 조심스럽게 무언가를 하수구 안으로 밀어 넣고 있었어요.
그건 다름 아닌 담배꽁초였습니다.
📸 사진을 제보한 사람은 이렇게 말했어요.
“비가 너무 많이 와서 도로도 잠기고, 하수구가 넘쳤어요.
그다음 날 보니까 하수구 위에 놓인 항아리에 꽁초랑 쓰레기가 가득하더라고요.”
🚬 담배꽁초 하나쯤... 정말 괜찮을까?
길에서 하나쯤, 그냥 ‘툭’ 버리는 담배꽁초.
“그냥 종이잖아”, “금방 썩겠지”라고 생각하실 수 있어요.
하지만 진실은 전혀 달라요.
대부분의 담배 필터는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라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요.
겉보기엔 솜 같지만, 실제로는 아주 천천히 분해되는
‘미세플라스틱 폭탄’ 같은 존재랍니다.
🚫 그러니까 담배꽁초를 하수구에 버린다는 건,
곧 플라스틱 쓰레기를 하수구에 밀어 넣는 것과 다름없어요.
🌀 하수구는 강으로, 바다로… 결국 우리에게 돌아오는 여정
한 번쯤 이런 상상 해보셨나요?
👣 내가 길에 버린 담배꽁초 → 빗물 따라 하수구로
→ 하천으로 → 바다로 → 해양 생물에게 → 다시 식탁으로
실제로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도심에서 나온 플라스틱 중 바다로 갈 가능성이 가장 큰 게 담배꽁초”라고 말합니다.
무서운 건 이 꽁초들이 바다에서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해
생태계 먹이사슬에 들어가고,
결국 사람 몸 안에도 쌓인다는 사실이에요.
🔬 최근 연구에 따르면,
엄마가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자녀에게까지 전달되고,
뇌와 장기에도 축적된다고 해요.
그야말로 ‘담배꽁초의 역습’이죠.
📊 하루 1억 개비… 꽁초는 쌓이고, 도시는 잠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하루에 버려지는 담배꽁초는 얼마나 될까요?
- 성인 흡연율 : 21.5% (2019년 기준)
- 흡연자 수 : 약 944만 명
- 1인당 하루 평균 흡연량 : 12.4개비
📌 이걸 계산해 보면,
하루에 약 1억 1,700만 개비의 담배꽁초가 발생하는 셈이에요.
이 중 일부라도 하수구에 버려진다고 생각해보세요.
배수구는 금세 막히고,
🌊 침수 피해는 3배 이상 커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도 당진, 군산 등 폭우 피해 지역 대부분에서
하수구가 비닐, 플라스틱, 꽁초 등 쓰레기로 막히며
물이 도로로 역류했고, 침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났어요.
🏖️ 바다에도, 길거리에도… 꽁초는 어디에나
휴가철 해수욕장 주차장, 공원 벤치 옆, 지하철 출구 앞.
한 번 유심히 보면 담배꽁초는 어디에나 있어요.
심지어 잘 정돈된 해변에서도 파도에 밀려온 꽁초가
하얀 백사장을 점점 더럽히곤 합니다.
🚯 길거리에 꽁초 쓰레기통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어쩔 수 없다’며 하수구나 길가에 버려진 꽁초들.
그게 우리 도시의 ‘약한 고리’를 점점 파고들고 있는 거예요.
🧼 흡연은 자유, 하지만 책임도 함께
물론 흡연은 개인의 자유입니다.
누군가의 스트레스 해소 수단일 수도 있고, 오랜 습관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중요한 건
개인의 선택이 모두의 피해로 이어지면 안 된다는 것이죠.
“꽁초 하나쯤 괜찮겠지” 하는 생각이
비 오는 날 도시 전체를 물에 잠기게 만들고,
언젠가는 우리 아이의 몸에 미세플라스틱을 남기는 일이 될 수도 있어요.
🤝 함께 지켜야 할 것들
작은 행동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는 말, 조금은 뻔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이 문제에선 꽤 진지하게 다가옵니다.
- 🚮 담배꽁초는 길에 버리지 않기
- 🚭 흡연 구역 외 장소에선 피우지 않기
- 🧺 길거리 꽁초통 설치 요구 목소리 내기
- 🌍 환경 보호 캠페인에 관심 갖기
우리가 조금만 더 신경 쓴다면,
침수 피해도, 미세플라스틱도,
더 이상 커지지 않을 수 있어요.
🌊 오늘의 꽁초, 내일의 재난
비가 오면 생각나요.
하수구가 넘치고, 물이 도로를 덮던 그 장면.
그리고 그 안에 밀어 넣어지던 작은 담배꽁초 하나.
🚬 그 꽁초 하나는
물길을 막고, 바다를 오염시키고, 생명을 위협하는 시작점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우리,
작은 행동으로 큰 재난을 막는 사람이 되어보면 어떨까요?
'일상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세대 실손보험 막차 탈까? 5세대 출시 전 꿀팁 총정리 (0) | 2025.09.21 |
---|---|
“회식 후 사망, 법원 ‘업무상 재해’ 인정” (4) | 2025.09.21 |
국립공원 ‘등반신고제’ 논란… 산악계가 뿔났다 (4) | 2025.09.21 |
“TDF ETF 퇴출 논란? 퇴직연금 투자자들 혼란 이유는” (11) | 2025.09.20 |
“해킹 피해, 한국 10만원 미국 수천만원” (5) | 2025.09.20 |